선사 재정난에 건조 차질... 옹진군, 사실상 무산 판단
정부에 직접 추진 건의... 인천교통공사 운영 검토
여객선공영제, 대통령·인천시장·옹진군수 공통 공약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인천과 백령도를 오가는 카페리여객선을 민간 선사가 새로 건조해 투입하는 방안이 백지화될 전망이다. 이에 옹진군은 정부 또는 인천시의 지원을 받는 방식의 여객선 공영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옹진군은 4일 인천~백령 항로 대형 카페리여객선을 신규 건조해 투입하기로 한 선사가 재정악화로 사업 추진이 어려워짐에 따라 정부와 인천시에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ㆍ[관련기사] 인천~백령 여객선 공백 위기... 윤석열 공약 ‘완전공영제’ 대안

인천 연안여객터미널과 백령도 용기포신항을 오가는 하모니플라워호.
인천 연안여객터미널과 백령도 용기포신항을 오가는 하모니플라워호.

현재 인천~백령을 오가는 초고속 카페리여객선 하모니플라워호(2071톤급)는 내년 5월이면 25년 선령제한이 만료돼 해운법상 운항할 수 없다.

이에 옹진군은 지난해 12월 하모니플라워호 운영선사이기도 한 에이치해운과 2400톤급 카페리선을 투입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했다. 

에이치해운은 당초 올해 초부터 선박 건조작업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경영악화로 현재까지 선박 건조사에 계약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건조기간이 최소 18개월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춰보면, 내년 5월 이후 운항 공백 장기화가 우려된다.

이에 옹진군은 지난 6월 선사에 오는 8월 20일까지 대출금을 확보하고 선박건조를 시작할 것을 요구했다. 이를 어길 시 계약이 파기된다는 조건도 달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선사는 뚜렷한 향후 계획을 제출하지 않고 있다.

여객선공영제, 대통령·인천시장·옹진군수 공통 공약

결국, 옹진군은 선사가 사업 수행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정부와 시에 신규 대형여객선 도입사업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사실상 여객선공영제 추진으로 이는 윤석열 대통령과 유정복 인천시장, 문경복 옹진군수가 후보 시절 내건 공약이기도 하다.

우선 옹진군은 해양수산부와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가 사업을 직접 추진하는 방안을 먼저 건의할 방침이다. 행정적이나 법적으로 근거가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행안부는 지난 2020년 7월 ‘서해5도 종합발전계획’을 수정하면서 ‘대형여객선 도입 지원’ 사업을 해수부 소관 중장기 검토사업으로 반영한 바 있다. 또한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을 보면, 정부는 접경지역 주민의 교통편의를 위해 선박 건조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옹진군은 대형여객선 도입을 국무총리 주재 ‘서해 5도 지원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하고, 행안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반영할 수 있게 건의한다는 구상이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전경.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전경.

인천교통공사 ‘여객선 공영제’ 운영 다시 부각

이외에도 인천시가 직접 나서서 국비를 확보한 뒤, 건조한 여객선을 인천교통공사가 위탁받아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내년도 인천시 본예산에 여객선 건조비 편성을 건의하겠다는 계획인데, 지난해 인천시가 긍정적으로 검토한 바 있다.

ㆍ[관련기사] 인천시 '서해5도 대형여객선' 직접 건조... 인천형 준공영제

하지만, 이 방안은 기존 여객선 선령 만료로 인한 운항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건조기간에 투입할 대체여객선을 찾아야 한다. 또한 인천교통공사가 여객선 운송사업을 할 수 있게 관련 조례도 개정해야 한다.

이런 방안을 두고 옹진군은 오는 5일 오후 군청에서 인천시·인천지방해양수산청·해수부 관계자들과 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인천~백령 신규여객선 도입 사업에 대한 향후 방향을 의논한다.

현재로선 시기상 신규 건조를 하더라도 운항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대체여객선 도입으로 급한 불을 끄는 방안을 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옹진군 경제교통과 관계자는 “민간선사가 하모니플라워호를 대체할 신규여객선을 건조해 투입하는 방식은 거의 무산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우선 정부에 직접 지원을 요청한 뒤, 어려울 경우 인천시가 공영제로 운영하는 방식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